시장조사, 소비자 조사, FGI 사회자가 주의해야 할 20가지


1. 얼굴 표정을 읽어라. 참석자들은 종종 그들의 반대 의견이나 이견을 말이 아닌 얼굴 표정으로 나타낸다.

2. 참석자들 사이에서 자유로운 대화가 될 수 있도록 독려하라. 그룹 안에서 참석자 간 토의는 사회자와 참석자 간의 대화와 다르다.

3. 사회자는 해당 문제에 대해 특정 견해를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을 참석자들에게 분명히 인식시켜라.

4. 소비자들은 모든 문제에 있어 똑같은 관심을 갖고 있지 않다. 즉 그 상표나 주제에 대한 그들의 관심 부족도 역시 하나의 발견 내용이 될 수 있다.

5. 모든 참석자를 공경하는 마음으로 대하라.

6. 해당 그룹과 상이한 의견을 갖는 다른 그룹이 있을 수 있다. 서로 간의 다른 의견을 각 그룹에 전달해도 좋다. 이러한 방법은 해당 그룹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7. 참석자 중 간혹 앞뒤가 상충되는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잘 감지해서 의견 정리를 해야 한다.

8. 첫 소개를 마친 후 첫 질문을 할 때, 특정한 응답자를 지적하지 말고 자발적으로 이야기하도록 유도하라.

9. 인터뷰 진행 때 다양한 응답자의 특징을 구별해야 한다. 이야기를 많이 해 토의를 좌지우지하려는 사람, 초점이 없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 등 이런 특징을 의식하면서 진행해야 한다.

10. 되도록이면 질문은 간결하게 하되, ‘예’ ‘아니오’라고 하는 대답이 나오지 않도록 질문하라.

11. 인터뷰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으면 참석자들에게 “OO님께서는 XX님께서 하신 말씀을 동감하시나요?”라고 물으며 토의를 독려하라.

12. 인터뷰를 시작할 때 미리 솔직하게 이야기해 달라는 부탁을 하라.

13. 어떤 한 사람이 너무 이야기를 오랫동안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14. 어떤 태도나 행동이 이미 관습적으로 변해 당연하게 여기는 것일지라도 사회자는 끈질기게 파고들어 질문하고 확인해야 한다.

15. 말없이 가만히 있는 것도 중요한 기법이다. 잠시 침묵을 지키는 것도 다른 참석자로 하여금 이야기를 하게 하는 좋은 방법이다. 계속해서 똑같이 “왜 그러냐고?”만 물으면 참석자들은 싫증을 낸다. 따라서 가능하면 다른 문장과 다른 용어를 써서 다른 질문처럼 물어봐야 한다.

16. FGI 가이드를 잘 숙지하고, 참석자의 이해 수준에 맞춰 질문을 하라. 그들은 전문가가 아님을 잊지 말자.

17. 질문은 모든 참여자에게 동일하게 하는 것이 원칙이다.

18. 다만 한 주제나 문제를 깊이 들여다보고자 할 때는 가능한 한 다수의 응답자를 고려하여 “나머지 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고 묻거나 다른 응답자가 이의를 갖고 있을 것 같을 때는 “나머지 분들은 정말 OO 씨의 의견에 동감하시나요?”라고 묻는다.

19. 참석자가 사회자에게 질문한다고 해서 사회자가 대답하면 안 된다. 만약 그 질문이 유용한 것이라면 참석한 다른 사람이 대답하도록 유도하라.

20. 사회자는 자신의 얼굴 표정, 시선에 주의해야 한다. 어떤 사람에게도 “알겠습니다”라는 말, 그 이상의 의미를 담은 표정을 짓지 말라.

21. 모두들 편안한 느낌이 들게 하라. 편한 느낌을 조성하지 못하면 인터뷰는 절대로 활발해지지 않는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