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제대로 읽는 법

​1. 트렌드 코리아 서울대 김난도 교수와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가 매년 출간하는 대표적인 트렌드 분석서.

2. 이 책을 볼 때 가장 유의해야 할 게 트렌드 키워드에 함몰되지 말아야 한다는 것.

3. 간혹 이 책에서 얘기한 트렌드 키워드를 완벽하게 암기하려고 하고, 암기를 다 했다고 해서 마치 트렌드를 다 파악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는데, 이는 큰 실수를 저지르는 것.

4. 키워드는 단지 해당 트렌드를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게 조어를 한 것이지, 트렌드를 볼 때는 트렌드가 일어나게 된 맥락 파악이 더욱 중요.

5. 맥락을 쫓다 보면 결국 2019년 트렌드 중 상당수는 2020년 트렌드로 옮겨져있다는 것을 발견.

6. 즉, 트렌드는 매년 조금씩 모습을 바꾸긴 하지만 3-5년에 이르는 큰 흐름을 말하는 것. 이것이 트렌드의 진실.

7. 2019년 트렌드 키워드 중 ‘나나랜드'(규범과 관습을 거부하는 ‘나’)라는 키워드는 2020년에 와서 ‘업글인간'(성공 보다는 성장을 중시하는 ‘나’)로 변경.

8. 이는 트렌드가 바뀐 게 아니라 트렌드의 맥락이 서서히 조정되었다는 것을 의미. ‘나’로부터 발생하는 시선을 통해서 기존의 보수적인 문화를 벗고 새로운 가치관을 찾는 과정에서, ‘성공’보다는 ‘성장’을 중시하는 문화로 자신의 존재 이유를 재해석하기 시작.

​9. 이처럼 트렌드는 한 뿌리지만 키워드는 매년 바뀔 수 있어. 그래서 이렇게 바뀌게 된 원인을 파악하고 해당 원인이 더욱 지속될지 아니면 잠깐 이러다 말지를 잘 관측해보는 것이 중요.

​10. 이것이 트렌드를 읽는 습관이고, 트렌드 코리아를 읽는 방법임.


이 책을 읽는 그 외 다양한 방법은 <트렌드 읽는 습관>을 참고해주세요. ‘트렌드서를 읽는 법’부터 일상에서 트렌드를 관찰할 수 있는 12가지 방법을 제시합니다. 스스로 트렌드를 읽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트렌드 읽기입니다. 소상공인, 1인사업자, 프리랜서 등에게 추천합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